콘텐츠창작트랙의 교과과정은 문화콘텐츠기획자나 창작자로 육성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다양한 지식과 기량을 체계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기초 단계, 연마 단계, 창작/활용 단계의 3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최종 단계인 5학기에는 지도교수와의 정기적인 개인적 지도/사사를 통해 연구논문 혹은 연구과제를 수행하게 됩니다. 이렇게 작성된 논문이나 제작된 과제(작품)은 학위 청구를 위해 제출되며 소정의 심사를 거쳐 인준되어진 논문/과제에 대하여서는 청구자에게 석사학위가 수여됩니다. 구체적인 과목명 및 내용 그리고 전체 과목의 구성도는 아래와 같습니다.

감수성, 관찰력, 통찰력을 발굴하여 개발하는 과목으로, 회상과 내면적 탐구를 통해 자아와 세계를 재발견하고, 이를 문화적 자극을 통해 신장시킵니다.
창발력, 구성력, 상상력을 활성화하는 과목으로 심리학, 두뇌생리학적 지식과 다양한 사회/문화적 사례를 결합하여 자유롭고 비약적인 발상과 구성을 행합니다.
우수한 그림책 사례의 분석을 통해 시각스토리텔링과 서사스토리텔링을 탐구하는 과목입니다.
그림책의 구성, 전개, 표현, 제작 등 기획 능력과 글쓰기, 그리기, 레이아웃, 편집, 출력, 제책 등 제작 능력을 육성하는 과목입니다.
인형극, 어린이박물관, 체험공간, 인터랙티브인스톨레이션과 같은 우수한 아동공연, 아동체험전시, 아동디지털콘텐츠의 사례 분석을 통해 기획 방법을 습득하는 과목입니다.
아이디어스케치, 기술적 해결, 프로토타입 만들기, 설계 등을 통해 아동공연, 아동체험전시, 아동디지털콘텐츠의 기획, 제작, 설치, 실행 등 기획 및 창작 능력을 습득하는 과목입니다.
행동장면분석, 근거이론방법론, KJ법과 같은 다양한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콘텐트 기획, 창작 및 그를 활용한 교육 실행을 연구하는 과목입니다.
지도교수와의 1:1 지도면담을 통해 학생 개인이 독립적으로 실제의 콘텐츠 창작물을 제작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과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