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운영



프로그램개발운영트랙의 교과과정은 창의교육의 입문자를 대상으로 전문적인 프로그램기획자나 교육자로 육성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다양한 지식과 기량을 체계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기초 단계, 연마 단계, 창작/활용 단계의 3단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학기를 구성하는 기초 단계에서는 프로그램기획자나 교육자에게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기초적인 소양으로서 창의성에 대한 심리학적, 교육학적 개념과 이론의 학습, 다양한 문화적 사례 제시와 체험을 통해 문화에 대한 포괄적 심층적 이해를 얻고 그를 바탕으로 작동무의식을 발현시켜 아이디어와 전략을 도출하는 것을 경험하게 합니다.

2, 3학기를 구성하는 연마 단계에서는 기초 단계에서 습득한 지식과 경험을 방법적으로 정리하고 실습을 통해 익히는 단계로서 크게 문화예술을 활용한 접근과 콘텐츠를 활용한 접근으로 구분하여, 다양한 사례를 방법적으로 분석하고 그를 활용하여 실제 프로그램의 구성을 실습합니다. 연마 단계부터 지도교수의 개인적 지도를 통해 기획자, 개발자로서 역량을 키워가게 됩니다.

4, 5학기는 창작/활용 단계로서 연마 단계에서 실습한 내용을 심화시켜 독자적인 프로그램을 구성하거나 혹은 프로그램 구성의 바탕이 되는 이론이나 전략을 도출, 수립함으로써 차후 보다 강력한 프로그램 구축을 행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합니다. 또한 구성한 프로그램의 사업적 활용과 독자적인 비즈니스 개발도 본 단계의 중요한 주제입니다.

콘텐츠창작트랙전공 교과운영 도표

자아발견과 문화탐구

감수성, 관찰력, 통찰력을 발굴하여 개발하는 과목으로, 회상과 내면적 탐구를 통해 자아와 세계를 재발견하고, 이를 문화적 자극을 통해 신장시킵니다.

창의적 발상과 전개

창발력, 구성력, 상상력을 활성화하는 과목으로 심리학, 두뇌생리학적 지식과 다양한 사회/문화적 사례를 결합하여 자유롭고 비약적인 발상과 구성을 행합니다.

창의교육프로그램 분석연구

레지오에밀리아접근법, 폴베이커의 능력통합프로그램 등과 같은 세계적인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 사례의 분석을 통해 새로운 교육프로그램의 구축 방법을 탐구하는 과목입니다.

창의교육프로그램 기획실습

문학, 미술, 연극, 음악, 춤, 놀이 등 다양한 사례의 전략과 실행 노하우의 분석을 통해 새로운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을 실습하는 과목입니다.

창의적 실현사례연구

주목할 만한 창의적 성취 사례의 분석을 통해 창의성을 구축하는 특질을 이해하고 그 성취를 이루는데 필요한 방법, 철학, 태도 등을 도출하는 과목입니다.

창의교구 교재개발

다양한 교구 교재의 사례 연구를 통해 전략과 노하우를 분석하여 교육 활용을 지원하는 도구로서 교구와 교재의 개발을 실습하는 과목입니다.

창의교육 연구방법론

행동장면분석, 근거이론방법론, KJ법과 같은 다양한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교육 프로그램 및 교재 개발, 그리고 그를 활용한 교육 사업 전개 방법을 연구하는 과목입니다.

창의교육 프로젝트

지도교수와의 1:1 지도면담을 통해 학생 개인이 독립적으로 실제의 교육프로그램이나 교구 교재를 제작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과목입니다.

Copyright ⓒ Sookmyung Women's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